[](https://www.hongsnet.net) ## MON 도입 목적 - `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한 안정화 실현` - **오픈소스** 기반의 시스템 모니터링 구현 - 오픈소스 모니터링 시스템의 Source Code Custmization 보단, **직접 연구/개발하여 각종 기능들을 생산** - UI와 API 기반의 연동구성으로 동작 - UI : React 라이브러리 기반 - API : Node.js 기반 ## MON 기대 효과 및 특징 - 모니터링 시스템 기대 효과 및 특징 - **빠른 시간 안에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**할 수 있는 환경 (오픈 소스) - **Time Series DBMS** 도입에 따른 **대용량 데이터 처리 가능** - RDBMS의 경우 대용량 처리에 대한 DB 부하 및 제약조건 이슈 발생 내재 - **대용량 메시징 시스템**과의 연동 - Kafka Producer와 Consumer를 기본적으로 제공 - 대상 시스템의 경우 별도 Inventory에서 RDBMS로 관리 - 필요할 경우 그룹 및 항목별 Farm 분리 가능 - 시스템 Alarm의 경우 Kapacitor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판단 - 시스템 Metric Data는 **influxDB**에 저장 - InfluxDB의 Retention Policy(일정 기간 동안만 데이터를 저장) - 이력 관리의 경우 History 메뉴에서 확인 가능 - InfluxDB는 TS(TimeSeries)DBMS 로서, 제약조건이 없는 특성이 존재 - Table => Measurement - Primary Key => Tag - Field => Tag를 제외한 필드 - **Kapacitor** 임계치의 경우 UI에서 직접 변경이 가능 - Alarm On/Off 기능 - Alarm의 경우 **Slack**과 **Email**로 발송 - 모니터링 Visualization 솔루션은 **Grafana** 제공을 통해 제공 - 각 시스템별 URL Link를 통해 제공 ## TO-DO List - **서비스 모니터링** 연구/개발 후 적용 필요 - **Container** 환경의 모니터링 연구/개발 후 적용 필요 ## System Overview # Front-End  # Back-End 