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Projects
Groups
Snippets
Help
Loading...
Help
Support
Submit feedback
Contribute to GitLab
Sign in
Toggle navigation
J
joohanhong
Project
Project
Details
Activity
Releases
Cycle Analytics
Repository
Repository
Files
Commits
Branches
Tags
Contributors
Graph
Compare
Charts
Issues
0
Issues
0
List
Boards
Labels
Milestones
Merge Requests
0
Merge Requests
0
CI / CD
CI / CD
Pipelines
Jobs
Schedules
Charts
Wiki
Wiki
Snippets
Snippets
Members
Members
Collapse sidebar
Close sidebar
Activity
Graph
Charts
Create a new issue
Jobs
Commits
Issue Boards
Open sidebar
JooHan Hong
joohanhong
Commits
ed9c1fe0
Commit
ed9c1fe0
authored
2 years ago
by
JooHan Hong
Browse files
Options
Browse Files
Download
Email Patches
Plain Diff
memory risk management modify1
parent
c49cb5ab
master
No related merge requests found
Pipeline
#7019
passed with stages
in 1 minute and 1 second
Changes
1
Pipelines
1
Show whitespace changes
Inline
Side-by-side
Showing
1 changed file
with
18 additions
and
5 deletions
+18
-5
README.md
OS/RISK/MEMORY/RESULT/README.md
+18
-5
No files found.
OS/RISK/MEMORY/RESULT/README.md
View file @
ed9c1fe0
...
@@ -2,13 +2,26 @@
...
@@ -2,13 +2,26 @@
# Issue
# Issue
-
OO 서비스의 빈번한 일시적 접속 지연 발생에 따른
Risk Management 상황
발생
-
OO 서비스의 빈번한 일시적 접속 지연 발생에 따른
**Risk Management 상황**
발생
-
개발 부서 의 분석결과
, 메모리 (Page Cached 영역
사용 부족에 따른 긴급 증설 요청 의견
-
개발 부서 의 분석결과
,
**Page Cached 영역**
사용 부족에 따른 긴급 증설 요청 의견
-
접속 지연 이상징후 발생 시 프로세스 재기동 수행 후 해소 근본원인파악 X)
-
접속 지연 이상징후 발생 시 프로세스 재기동 수행 후 해소
(
근본원인파악 X)
-
운용 부서 의 분석결과
, 메모리는 30% 정도 여유가 있는 상태이고
, SWAP 은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이라는 의견
-
운용 부서 의 분석결과
, 메모리는 30% 정도 여유가 있는 상태이고
, SWAP 은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이라는 의견
-
SWAP 영역의 지속적 상승 유지에 따른 서비스 접속지연 발생의 근본 원인 분석
-
SWAP 영역의 지속적 상승 유지에 따른 서비스 접속지연 발생의 근본 원인 분석
-
개발 / 운용 부서와의 의견충돌이 발생 되고 있으며 , 이를 객관화하기 위한 세부 의미있는 데이터
는 미존재
-
<u>
개발 / 운용 부서와의 의견충돌이 발생
</u>
되고 있으며, 이를 객관화하기 위한
`세부 의미있는 데이터`
는 미존재
-
아래 그래프 최근 3 개월 기준으로는 개발 부서에서 메모리 용량부족 의견에 부합되지 않음
-
아래 그래프 최근 3 개월 기준으로는 개발 부서에서 메모리 용량부족 의견에 부합되지 않음


# Analysis
-
OO 서비스는
**Linux Page Cache 영역을 공유 메모리로 사용**
-
Linux Kernel은 메모리 가용량에 대해 Page Cache 로 활용하려는 메커니즘
-
실질 시스템 메모리 가용량이 있는 것인지, 부족한 것인지에 대한 일반적인 기술 Based 접근 시 충돌 불가피
-
Linux 는 메모리 가용량에 대해 Page Cache 로 활용“, “OO 서비스 프로세스는 Pag e Cache 일부를 사용
-
OO 서비스의 시스템 메모리
`상세 현황`
이 없는 상태 (
**신속한 모니터링 아이템 발굴 필요**
)
-
분석 결과에 대한 객관성 타당성 부족
# Solution
This diff is collapsed.
Click to expand it.
Write
Preview
Markdown
is supported
0%
Try again
or
attach a new file
Attach a file
Cancel
You are about to add
0
people
to the discussion. Proceed with caution.
Finish editing this message first!
Cancel
Please
register
or
sign in
to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