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Projects
Groups
Snippets
Help
Loading...
Help
Support
Submit feedback
Contribute to GitLab
Sign in
Toggle navigation
J
joohanhong
Project
Project
Details
Activity
Releases
Cycle Analytics
Repository
Repository
Files
Commits
Branches
Tags
Contributors
Graph
Compare
Charts
Issues
0
Issues
0
List
Boards
Labels
Milestones
Merge Requests
0
Merge Requests
0
CI / CD
CI / CD
Pipelines
Jobs
Schedules
Charts
Wiki
Wiki
Snippets
Snippets
Members
Members
Collapse sidebar
Close sidebar
Activity
Graph
Charts
Create a new issue
Jobs
Commits
Issue Boards
Open sidebar
JooHan Hong
joohanhong
Commits
6c048fad
Commit
6c048fad
authored
2 years ago
by
JooHan Hong
Browse files
Options
Browse Files
Download
Email Patches
Plain Diff
MON intro, 문단 정리
parent
202accdb
master
No related merge requests found
Pipeline
#6058
passed with stages
in 1 minute and 11 seconds
Changes
1
Pipelines
1
Show whitespace changes
Inline
Side-by-side
Showing
1 changed file
with
10 additions
and
11 deletions
+10
-11
README.md
MON/FEATURE/README.md
+10
-11
No files found.
MON/FEATURE/README.md
View file @
6c048fad
[

](https://www.hongsnet.net)
[

](https://www.hongsnet.net)
## MON 도입 목적
## MON 도입 목적
-
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한 안정화 실현
-
`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한 안정화 실현`
-
오픈소스
기반의 시스템 모니터링 구현
-
**오픈소스**
기반의 시스템 모니터링 구현
-
오픈소스 모니터링 시스템의 Source Code Custmization 보단,
직접 연구/개발하여 각종 기능들을 생산
-
오픈소스 모니터링 시스템의 Source Code Custmization 보단,
**직접 연구/개발하여 각종 기능들을 생산**
-
UI와 API 기반의 연동구성으로 동작
-
UI와 API 기반의 연동구성으로 동작
-
UI : React 라이브러리 기반
-
UI : React 라이브러리 기반
-
API : Node.js 기반
-
API : Node.js 기반
...
@@ -11,31 +11,30 @@
...
@@ -11,31 +11,30 @@
## MON 기대 효과 및 특징
## MON 기대 효과 및 특징
-
모니터링 시스템 기대 효과 및 특징
-
모니터링 시스템 기대 효과 및 특징
-
빠른 시간 안에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
할 수 있는 환경 (오픈 소스)
-
**빠른 시간 안에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**
할 수 있는 환경 (오픈 소스)
-
Time Series DBMS 도입에 따른
대용량 데이터 처리 가능
-
Time Series DBMS 도입에 따른
**대용량 데이터 처리 가능**
-
RDBMS의 경우 대용량 처리에 대한 DB 부하 및 제약조건 이슈 발생 내재
-
RDBMS의 경우 대용량 처리에 대한 DB 부하 및 제약조건 이슈 발생 내재
-
대용량 메시징 시스템과의 연동 가능
-
**대용량 메시징 시스템**
과의 연동
-
Kafka Producer와 Consumer를 기본적으로 제공
-
Kafka Producer와 Consumer를 기본적으로 제공
-
대상 시스템의 경우 별도 Inventory에서 RDBMS로 관리
-
대상 시스템의 경우 별도 Inventory에서 RDBMS로 관리
-
필요할 경우 그룹 및 항목별 Farm 분리 가능
-
필요할 경우 그룹 및 항목별 Farm 분리 가능
-
시스템 Alarm의 경우 Kapacitor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판단
-
시스템 Alarm의 경우 Kapacitor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판단
-
시스템 Metric Data는
influxDB
에 저장
-
시스템 Metric Data는
**influxDB**
에 저장
-
InfluxDB의 Retention Policy(일정 기간 동안만 데이터를 저장)
-
InfluxDB의 Retention Policy(일정 기간 동안만 데이터를 저장)
-
이력 관리의 경우 History 메뉴에서 확인 가능
-
이력 관리의 경우 History 메뉴에서 확인 가능
-
InfluxDB는 TS(TimeSeries)DB 로서, 제약조건이 없는 특성이 존재
-
InfluxDB는 TS(TimeSeries)DB 로서, 제약조건이 없는 특성이 존재
-
Table => Measurement
-
Table => Measurement
-
Primary Key => Tag
-
Primary Key => Tag
-
Field => Tag를 제외한 필드
-
Field => Tag를 제외한 필드
-
Kapacitor
임계치의 경우 UI에서 직접 변경이 가능
-
**Kapacitor**
임계치의 경우 UI에서 직접 변경이 가능
-
Alarm On/Off 기능
-
Alarm On/Off 기능
-
Alarm의 경우 Slack과 Email로 발송
-
Alarm의 경우 Slack과 Email로 발송
## TO-DO List
## TO-DO List
-
TO-DO List
-
**서비스 모니터링**
연구/개발 후 적용 필요
-
서비스 모니터링 연구/개발 후 적용 필요
-
**Container**
환경의 모니터링 연구/개발 후 적용 필요
-
Container 환경의 모니터링 연구/개발 후 적용 필요
This diff is collapsed.
Click to expand it.
Write
Preview
Markdown
is supported
0%
Try again
or
attach a new file
Attach a file
Cancel
You are about to add
0
people
to the discussion. Proceed with caution.
Finish editing this message first!
Cancel
Please
register
or
sign in
to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