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Projects
Groups
Snippets
Help
Loading...
Help
Support
Submit feedback
Contribute to GitLab
Sign in
Toggle navigation
J
joohanhong
Project
Project
Details
Activity
Releases
Cycle Analytics
Repository
Repository
Files
Commits
Branches
Tags
Contributors
Graph
Compare
Charts
Issues
0
Issues
0
List
Boards
Labels
Milestones
Merge Requests
0
Merge Requests
0
CI / CD
CI / CD
Pipelines
Jobs
Schedules
Charts
Wiki
Wiki
Snippets
Snippets
Members
Members
Collapse sidebar
Close sidebar
Activity
Graph
Charts
Create a new issue
Jobs
Commits
Issue Boards
Open sidebar
JooHan Hong
joohanhong
Commits
09ceda84
Commit
09ceda84
authored
2 years ago
by
JooHan Hong
Browse files
Options
Browse Files
Download
Email Patches
Plain Diff
JENKINS 추가
parent
d8ca393f
master
No related merge requests found
Pipeline
#5679
passed with stages
in 1 minute
Changes
3
Pipelines
1
Show whitespace changes
Inline
Side-by-side
Showing
3 changed files
with
100 additions
and
0 deletions
+100
-0
.gitkeep
DEVELOPMENT/JENKINS/.gitkeep
+1
-0
README.md
DEVELOPMENT/JENKINS/README.md
+74
-0
README.md
DEVELOPMENT/JENKINS/SETTING/README.md
+25
-0
No files found.
DEVELOPMENT/JENKINS/.gitkeep
0 → 100644
View file @
09ceda84
This diff is collapsed.
Click to expand it.
DEVELOPMENT/JENKINS/README.md
0 → 100644
View file @
09ceda84
# Jenkins를 이용한 지속적인 배포(CI, Continuous Integration)
먼저 웹 소스파일을 개발하고 서버에 업로드하는 일반적인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.
-
[
`STEP 1`
]
: PC에 개발소스를 개발하거나 수정한 후 저장
-
[
`STEP 2`
]
: SFTP/FTP를 이용하여, 웹 소스를 서버에 업로드
과정은 간단하지만,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이슈가 발생 됩니다.
-
개발소스를 개발한 PC에만 최신본이 존재
-
회사PC 등 외부에서 개발한 소스를 최신화하기가 번거로움 (버전관리의 어려움)
-
소스코드 Rollback 의 어려움
-
의도적인 상황 (소스코드의 잘못된 코딩)
-
실수가 발생된 상황에 대한 대처 (파일제거/덮어쓰기)
이런 이슈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홍쓰넷에서는
**GitLAB + Jenkins 솔루션**
을 제공하여, 개발작업에 편의/관리적 이점을 드리고자 합니다.
# Jenkins 서비스제한 사항
-
호스팅 특성상 Bandwidth는
`30Mbps/s`
입니다.
-
30Mbps/s 는 전체속도이기 때문에 전체 사용자의 속도에 영향을 받습니다.
-
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인만큼 향후 대역폭 상향은 불가능합니다 (홍쓰넷 관리자도 전체트래픽의 관리가 필요).
# 홍쓰넷 CI/CD 서비스구성도 및 절차

-
[
`STEP 1`
]
: 회원은 할당받은 계정을 이용해
**git(GitLab)**
저장소에
**push**
를 수행 합니다.
-
[
`STEP 2`
]
: GitLab에 설정된
**WebHook 설정**
을 이용해서 Jenkins에 Build 합니다.
-
[
`STEP 3`
]
: 회원 Jenkins 프로젝트의 Build 유발 설정을 작성 합니다.
-
홍쓰넷에서는
**ssh를 이용한 배포**
만 지원 합니다.
-
ssh를 수행하기위해서는 부가서비스를 신청하신 후
**Token 정보**
를 받으셔야 합니다.
-
[
`STEP 4`
]
: 회원은 자신이 개발/변경한 소스코드가 제대로 적용되었는지를 검증 합니다.
# 홍쓰넷 CI/CD 서비스신청 절차
-
[
`STEP 1`
]
: 홍쓰넷에 로그인 후 MYPAGE로 이동하여, 하단의 서비스추가신청의
**"CI/CD 서비스"**
를 포커스 합니다.

-
[
`STEP 2`
]
:
**"CI/CD 서비스신청" 버튼**
을 클릭하면, 다음과 같이 새창이 출력되면서 신청폼이 나타 납니다.

-
[
`STEP 3`
]
: GIT/JENKINS 를 모두 신청 합니다(각각 신청필요).
그럼 페이지 하단이력에 다음과 같이
**두 건의 접수완료가 접수 됩니다.**

> 주의 : Jenkins를 신청하시려면, 먼저 Git의 신청 및 처리가 완료되어야 합니다.
여기까지 완료되었으면, 관리자의 처리를 기다리셔야 합니다.
-
[
`STEP 4`
]
: 처리가 완료되면, 다음과 같이
**Token 정보**
가 생성됩니다.

여기까지 완료되었으면, Jenkins의 CI/CD 설정만 남게되며 다음의 절차대로 진행 됩니다.
-
GitLAB ID/PW, Project, WebHook ->
`관리자가 세팅`
-
Jenkins ID/PW, Project ->
`관리자가 세팅`
-
CI/CD 적용 ->
`회원이 세팅`
This diff is collapsed.
Click to expand it.
DEVELOPMENT/JENKINS/SETTING/README.md
0 → 100644
View file @
09ceda84
# 홍쓰넷 Jenkins 서비스
먼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여,
`사전에`
홍쓰넷에 CI/CD 서비스의
`jenkins`
서비스신청 및 처리완료가 되어야 합니다.
> 홍쓰넷 CI/CD 서비스신청 : https://git.freehongs.net/hongsnet/overview/tree/master/JENKINS
# 홍쓰넷 Jenkins 로그인
> https://jenkins.freehongs.net
-
[
`STEP 1`
]
: 홍쓰넷 로그인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인 합니다.

> Jenkins ID & Project Token 정보는 홍쓰넷 MYPAGE에 있습니다.
-
[
`STEP 2`
]
: 로그인을 완료하면, Jenkins Token과 같은 프로젝트가 생성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여기까지 완료되면, Jenkins의 세팅도 완료된 것입니다.
This diff is collapsed.
Click to expand it.
Write
Preview
Markdown
is supported
0%
Try again
or
attach a new file
Attach a file
Cancel
You are about to add
0
people
to the discussion. Proceed with caution.
Finish editing this message first!
Cancel
Please
register
or
sign in
to comment